본문 바로가기
의약품 및 식품

[의약품] 근이완제 => 근손실? (X)

by YYGang 2023. 8. 30.
반응형

 보통 근육통, 염좌, 담 등 근육이 뭉치거나 하였을때 근육이완제를 쉽게 약국에서 구입하여 복용하실 수 있습니다. 말 그대로 뭉친 근육을 이완시키며 신경을 풀어주고 혈류를 개선하며 회복을 도와주는 약인데 부작용으로 흔히 나름한 졸림 등이 나타납니다.

 바디프로필이나 헬스로 몸관리 하시는분들은 필연적으로 혹시 근이완제가 근육의 수축을 방해해 근손실을 유발하지 않을지 걱정하실 것 같아 한번 문헌을 검토해보았습니다.

 우선 약국에서 일반의약품으로 구입하실 수 있는 근이완제 성분은 클로록사존 한가지입니다. 한약제로 작약감초탕 등이 근이완 효과가 있긴 하지만 우선 생략하겠습니다.

결론적으로 근이완제와 근손실은 연관이 없습니다.

1. 허가사항 내에서의 근손실 정보

 약을 구입하시면 약통 뒷편과 안쪽에 작은 글씨로 안내문이 붙어져 있습니다. 이 정보들을 자세히 보시면 온갖 부작용들이 다 들어가 있습니다. 조금이라도 가능성이 있는 부작용은 모두 표기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위장장애 과민증 이런 것들이 들어가 있지요. 이 내용 중에 근 위축과 관련된 정보는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공식적으로는 연관이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미 리렉스펜 부작용 정보

 

2. 근이완제와 근손실 관련 연구

  관련 연구자료는 찾아봐도 없습니다. 우선 근이완제를 장기간 복용 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보건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연구를 할 이유가 없습니다. 그리고 이론적으로도 영향은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굳이 굳이 연결을 지어보자면 감기약처럼 졸림과 나른함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곧 활동이 줄어들면서 체지방이 늘고 근육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말은 '감기약을 먹으면 근육이 빠져요'와 같습니다. 보통 근위축과 관련된 부작용들은 혈압약이나 당뇨약처럼 장기간 복용해야하고 근위축이 흔하게 발생하는 노인 연령 질환의 경우 많이 연구됩니다. 

3. 보톡스와 근손실

 보톡스도 따지면 근이완제라 볼 수도 있습니다. 원리 자체가 근육의 신경전달물질을 차단하여 근육의 수축 이완 신호가 전달되지 않게 합니다. 따라서 근육이 사용되지 않으니 부피가 줄어들고 얼굴 같은 곳에 맞으면 주름이 사라지고 좀 갸름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경구로 먹는 근이완제는 원리가 조금 다릅니다. 클로록사존은 사용량에 비해서 연구가 상세히 진행된 것은 아닌데 중추신경계에서 근육 관련 신경(polysynaptic reflex)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확실히 연구된건 아닌데 이론적으로 보면 과도한 수축반응을 중추에서 억제할뿐 근육 자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지는 않아 근위축에 그영향이 적은것이 아닐까 라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진정효과도 조금 나타나겠지요.

TREMAINE, Anne Marie; MCCULLOUGH, Jerry L. Botulinum toxin type A for the management of glabellar rhytids.  Clinical, cosmetic and investigational dermatology , 2010, 15-23. / https://www.vetscraft.com/neuromuscular-blockers/

 

근이완제 + 해열진통제 : Acetaminophen 300mg + Chlorzoxazone 250mg

해열진통제 (타이레놀) 가 추가되었습니다. 1회 타이레놀 600mg정도면 충분히 진통효과가 나타납니다. 어지간해선 단일제와 약값 차이도 크지 않으니 통증도 있으시다면 이걸 복용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성인 : 1일 ~4회 2정

코오롱제약 근편정, 알파제약 다미탁정, 제일헬스사이언스 담엔싹정, 에이치엘비제약 렉스판정, 한솔신약 렉스펜정, 한미약품 리렉스펜정, 고려제약 리리스정, 제뉴원사이언스 릴렉스정, 한국신텍스제약 머슬펜정, 에스케이케미칼 머피스펜정, 한국파비스제약 미다펜정, 크리스탈생명과학 산크만정, 알리코제약 셀라펜정, 신신제약 신신아렉스정, 씨티씨바이오 아미클로정, 아이월드제약 아클린정, 한국코러스 아티시정, 노바엠헬스케어 엔디펜정,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엠피스정, 넥스팜코리아 제로펜정, 테라젠이텍스 젤라민정, 미래바이오제약 젤라펜정, 신일제약 카바몰에스정, 제뉴파마 크라이신정, 경방신약 크로나펜정, 경동제약 크로세펜정, 일양약품 크로아존정, 디아이디바이오 클라펜정, 동성제약 클로사펜정, 부광약품 클로스펜정, 마더스제약 클로엠정, 씨엠지제약 클록펜정, 더유제약 클리완정, 태극제약 파라존정, 유앤생명과학 팜듀얼렉스정, 오스틴제약 패튼정, 제이에스제약 펜크린정, 경남제약 푸러펜정, 코스맥스파마 피드펜정, 정우신약 피로펜정, 화이트생명과학 화이트클로펜정

 

근이완제 + 소염진통제 : Ethenzamide 150mg + Caffeine hydrate 25mg + Chlorzoxazone 150mg

소염진통제 성분과 카페인이 추가로 있습니다. 에텐자미드는 그렇게 강력한 성분은 아니고 카페인은 진통효과의 시너지를 노린것으로 보입니다. 아무래도 위에 조금은 부담이 갈 수 있기 때문에 기왕 드시는 거면 위의 성분을 권해드립니다. 하지만 회복 자체의 측면만 보자면 강하진 않지만 소염 성분이 있는 이 복합제가 더 좋겠지요.
성인 : 1일 1~2회 1~2정 (복용량이 적은건 카페인과 에텐자미드 때문으로 보입니다.)

 

지엘파마 크라렉신정, 동아제약 스카풀라정, 조아제약 케어담정, 광동제약 펜제로정

 

근이완제 단일 : Chlorzoxazone 200mg

진통이 필요치 않으신 경우 단일제로 용량을 조절해가면서 복용하시기 편합니다.
성인 : 1일 3~4회 1~2정

시어스제약 근렉스정, 일화 근속프정, 에이치엘비제약 릴랙슬정, 동인당제약 속사존정, 신일제약 카바몰프로정, 부광약품 클로다펜정, 마더스제약 풀리겐정, 한미약품 한미리렉스정200mg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