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약품 및 식품

[일반의약품] 마취제 리도카인 VS 디부카인 강도 차이

by YYGang 2024. 6. 26.
반응형

2024.06.21 - [의약품 및 식품/피부 질환] - [일반의약품] 가장 강력한 바르는 모기약

 

[일반의약품] 가장 강력한 바르는 모기약

초강력 => 벌무덴쿨겔 (1번 스테로이드 시리즈)어린이 안전성 => 버물리키드 (2번 키즈류)붓기 통증 => 버물리 (5번 살리실산)가려움 => 써버쿨 (7번 크로타미톤)긴 지속효과 => 제올라크림 (6번 크림)

yygang.tistory.com

 

 이전에 바르는 모기약에 대해서 분류했었습니다. 마취 성분인 리도카인 (lidocaine), 디부카인 (dibucaine) 두가지 성분에따라 제품을 구분했는데 어떤 차이가 있는지 간략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관련한 논문은 1964년 JAMA 에 실린게 거의 유일합니다. (예전 논문이긴 하지만 권위있는 저널입니다.)
ADRIANI, John; ZEPERNICK, Richard. Clinical effectiveness of drugs used for topical anesthesia. JAMA, 1964, 188.8: 711-716.

실험방법
 혀 끝에 미세한 전기자극을 주면서 마취제들간의 차이를 확인하는 실험입니다. (가장 예민하며 편차가 적은 부위입니다.)

실험결과 1
 결론적으로 디부카인이 마취 속도, 지속시간, 마취강도 측면에서 리도카인 대비 훨씬 우수하였습니다.

Dibucaine 디부카인 > Lidocaine 리도카인

약물 최대효과농도 발현시간 지속시간
Dibucaine
디부카인
0.5% 1.2분 46분
Lidocaine
리도카인
4.0% 2.0분 15분

 최대효과 농도란(약물의 농도를 그 이상으로 높여도 마취효과의 차이는 없는 농도를 말합니다.)

 리도카인이 1~2% 농도로 모기약에사용되며, 디부카인이 0.3~0.5% 농도로 사용되는 것을 보면 이 논문과의 연관성을 볼 수 있습니다.

실험결과 2
 재밌는점은 혀끝을 대상으로한 실험에선 농도를 높일 경우 지속시간이 감소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 이유는 침분비를 자극하여 용액에 포함된 버퍼능력을 초과하는 pH변화로 약물의 염이 형성되어 흡수를 방해했기 때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즉, 모기약의 첨가제들에 따라서 지속시간엔 제법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것을 참고하면 단순 액제보단 겔이나 크림제형이 좀더 효과가 길 수 있겠네요.


리도카인 3% 디부카인 0.5% 디부카인 0.3% 디부카인 0.5%
일양약품 벌무덴쿨겔 녹십자 써버쿨액 현대약품 둥근머리버물리겔 신신제약 물린디액
스테로이드 함유로 보완 물린디액과 성분 동일 디펜히드라민 고함량으로 보완 써버쿨액과 성분 동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