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요힘빈을 구입하여 복용하시는 것은 불법입니다.
병원에서 비아그라 류의 약물을 처방받아 복용하시는 편이 몸도 마음도 지갑도 편한 길이니 굳이 요힘빈을 찾으실 필요는 없습니다.
요힘빈 (yohimbine) 은 비아그라가 나오기 전에 발기부전 약물로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예전에 홍준표 의원과 관련하여 돼지 발정제 이슈도 있었습니다. 최음제(?) 키워드도 많이 연관됩니다. 굳이 요힘빈을 찾는 분이 계실까봐 궁금증 차원에서 하나씩 풀이해보겠습니다.
1. 요힘빈은 최음제 효과가 있나요?
그런 효과는 없습니다!
실제로 임상시험을 한 사례가 있는데도 왜 이런 소문이 남아있는지 의문입니다.
98년도 논문에서 성욕감퇴 진단을 받은 여성 9명을 대상으로 5.4mg 1일 3회 복용한 결과 뚜렷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습니다. 물론 피험자 수도 작고 용량도 조절될 여지는 있습니다. 하지만 효과가 있었다면 진작 제약회사들이 눈에 불을켜고 제품을 출시했을 겁니다. 부부관계는 이혼사유이기도 할 정도로 시장이 충분히 큽니다. 따라서 폐경기 여성들의 관계를 위한 약들도 일부 출시되었으며 실제로 더 낳은 효능을 가진 성분을 찾아 연구중입니다.
PILETZ, John E., et al. Plasma MHPG response to yohimbine treatment in women with hypoactive sexual. Journal of Sex & Marital Therapy, 1998, 24.1: 43-54.
왜 최음제로서의 속설이 도는지 추측해보자면, 실제로 남성들의 발기부전에 어느정도 도움을 줄 수는 있기 때문으로 추측됩니다. 발기부전의 개선은 한마디로 성기 주변으로의 혈액량이 늘어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여성의 경우도 동일할 것이다(?)라는 지나치게 단순한 추측이 있습니다. 혹은 남성들의 발기부전이 조금 개선된다는 의미가 혈액량이 늘어나는 것이 아닌 성흥분 효과로 인한 것이다로 오인한 여지도 있습니다. 그리고 약간 카페인과 유사한 흥분(?) 각성(?) 효과도 있긴 합니다. 아예 비과학적이 아닌 부분은 실제로 비아그라류의 성분을 크림제형으로 만들어 여성이 사용하는 임상시험도 일부 진행 중입니다. 하지만 이미 요힘빈은 그러한 효과가 없음이 위 논문에서 확인되었습니다.
2. 요힘빈과 비아그라중 어느게 낫나요?
비아그라 류 입니다!
두 가지를 직접적으로 비교한 임상문헌은 없었지만, 현재 정력제 시장을(?) 제패한 PDE5 억제제들 즉 비아그라 시리즈들 판매량을 생각한다면 압도적으로 비아그라를 복용하시는 편이 맞습니다. 돈은 정직합니다.
아래 요힘빈 단독 요법은 발기부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못했습니다. 최근에는 아르기닌, 트라조돈 등 다른 성분들과 병용투여 요법으로 연구되고 있긴 하지만 오히려 비아그라 계열의 다른 성분들이 개발되는 속도가 더 빠릅니다. (eg. 아바나필)
굳이 압도적으로 우수한 성분의 약물이 있는데 이상한 요힘빈을 어떻게든 구해서 복용하실 이유는 없습니다.
3. 요힘빈의 부작용은 어떤가요?
과복용이 아니라면 그렇게 심하지 않습니다.
국가별로 차이는 있으나 일부 외국에서는 2mg~6mg 용량 범위내에서 발기부전 및 산동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불안, 두통, 땀, 빈맥, 메스꺼움 등이 나타나며 그렇게 빈도수가 높지는 않습니다. 심지어 아마존에서는 건강보충제로도 팔고 있습니다. 운동능력증가(?) 등 보충제로 사용되는 듯 합니다.
아마 아르기닌과 유사한 약간의 혈액순환 개선효과(?)를 기대한 사용법 같습니다. 같은 목적이라면 훨씬 안전하고 효과가 입증된 아르기닌을 복용하시는 ㅍ녀이 좋습니다.
4. 요힘빈을 다이어트 용도로도 사용하나요?
이 부분은 조금 애매 합니다.
물론 아주 효과적이었다면 신규 적응증으로 허가받고 약으로 사용되고 있었을 겁니다. 현재까지 연구된 바로는 체중감소 효과는 애매하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요힘빈 자체가 카페인의 상위호환 느낌으로 아드레날린을 증가시켜 체중감소 혹은 운동량 증가와 연관짓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보통 이정도로 논란이 있는 경우는 효과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헬스장에서 운동 하시기전에 맥심 커피 한잔 타고 하시는 편이 몸도 마음도 돈도 좋습니다.
KUCIO, C.; JONDERKO, K.; PISKORSKA, D. Does yohimbine act as a slimming drug?. Israel journal of medical sciences, 1991, 27.10: 550-556.
OSTOJIC, Sergej M. Yohimbine: the effects on body composi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in soccer players. Research in Sports Medicine, 2006, 14.4: 289-299.
BERLIN, I., et al. Lack of efficacy of yohimbine in the treatment of obesity. Journal de pharmacologie, 1986, 17.3: 343-347.
SAX, L. Yohimbine does not affect fat distribution in me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1991, 15.9: 561-565.
CIMOLAI, Nevio. An overview of yohimbine in sports medicine. Sustained energy for enhanced human functions and activity, 2017, 251-260.
'의약품 및 식품 > 남성 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의약품] 지루증 치료제? (정확히는 완화) (사정지연) (0) | 2023.06.01 |
---|---|
[일반의약품] 전립선 배뇨장애 (카리토포텐, 유린타민, 쏘팔메토) (0) | 2023.05.05 |
[식품] 발기부전 도움 되는 성분 - 피크노제놀 + 아르기닌 (0) | 2023.03.31 |
[의약품] 발기부전 도움 되는 성분 - 시트룰린 (아르기닌) (0) | 2023.03.30 |
[일반의약품] 조루증 치료제 (사노바 스프레이, 파워겔) (0) | 2023.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