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요한 면접이나 시험 전 우황청심원을 한번씩 드셔보신 경우가 많을 겁니다. 긴장을 완화시키는 용도로 가끔 복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약국의 일반의약품 외에도 병원에서 처방받는 전문의약품도 있습니다. 자주 찾는건 아니지만 가끔씩 필요한 경우가 있는데 제 궁금증을 해결하기위해(?) 한번 여러가지로 확인해보겠습니다.
1. 병원에서 처방받는 의약품은 뭔가요?
가장 일반적인 약은 Propranolol 프로프라놀롤 입니다. 심장의 근육을 천천히 뛰게 만든다고 보시면 됩니다. 심장이 천천히 뛰게 만드는 경우는 심박이 불안정한 부정맥, 고혈압 등이 되겠네요. 실제로 일반 혈압약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잘 없긴 합니다. 왜냐하면 다른 훨씬 좋은 약들이 많기때문이죠. 하지만 부작용은 거의 없습니다. 이론적으로는 혈압이 살짝 낮아지고 약간 맥박도 느려지니 피가 머리로 덜가서 살짝 어지러울 수 있긴 한데, 이쪽 계열의 약물이 정상 혈압 환자들의 혈압은 잘 낮추지 않습니다. 오래된 약물이라 임상적으로 장기간 복용했을때도 안전합니다. 게다가
보통 10mg~20mg 정도의 용량을 단회성으로 복용하기에 걱정이 적지요. 하지만 그래도 보통 중요한날 며칠 전에 테스트삼아 드시는 편이 좋습니다.
문제는 간대사를 제법 광범위하게 거쳐 약물상호작용이 있단 점입니다. 그래서인지 여러가지 약을 복용하는 만성 대사질환자의 경우 잘 사용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보통 시험이나 면접은 젊은 분들이 보시기 때문에 상호작용은 크게 걱정하실 부분은 아니지요. 그래도 장기간 복용중인 약물이 있으시다면 병원에 말씀하시는게 좋습니다.
가장 유명한 제품은 동광제약 인데놀정 10mg 입니다. 병원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1정 심하면 2정을 복용합니다. 혹은 동광제약 인데놀정 40mg 이나 한올바이오파마 테프라정 40mg 이걸 0.5 T로 해서 처방을 하시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외에도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는 BDZ계 항불안제나,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불안을 제거하는 효과는 확실히 뛰어나나 졸림이 필연적으로 따라옵니다. 따라서 시험이나 면접때는 잘 사용하지 않는 편이지요. 졸음의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나 일반적인 감기약보단 훨씬 더합니다. 부스피론 계열의 경우 졸린 부작용이 없긴 한데... 효과가 나오려면 며칠 복용하셔야해서 일반적으로 잘 쓰이지는 않습니다.


2. 약국에서 곧바로 살 수 있는 의약품은 없나요?
애초에 긴장 완화의 목적으로 병원 가기도 좀 머쓱하기도 하기에 약국에서 찾는 경우가 많습니다. 유명한건 우황청심원이고 요새 광고하는 안정액도 있겠네요. 하지만 자세히 살펴보면 사정이 좀 복잡합니다.
2.1. 우황 청심원 VS 천왕보심단 (안정액)
당장 단기적인 효과는 보통 우황청심원이 우수합니다. 천왕보심단도 효과는 있지만 주로 신경성으로 인한 불면증에 많이 사용되며, 장기간에 거쳐 서서히 좋아지는 편입니다. 그렇다고 졸음이 오거나 그러지는 않습니다.
둘다 크게 부작용은 없으며 청심원 자체는 약간 혈압 강하 효과가 있어 살짝 어지러울 수는 있으나 대체로 없는 편입니다. 복용후 졸음이 쏟아진다거나 하는 경우도 거의 없습니다.
큰일을 앞두고 복용하신다면 청심원을 권해드립니다.
천왕보심단의 경우 병이나 포에 든 액상이나 환제가 있는데 사실 들어있는 성분은 같습니다. 병이 비싸고 장기간 복용이 필요한 경우가 많으니 저라면 환제를 복용할 것 같습니다. 보통 약국에서 병은 3~5000원 포는 1000원 내외입니다.
청심원의 경우는 제품 라인업이 좀 복잡합니다. 변방, 원방 우선 두가지로 나뉘며 사향과 영묘향으로 한번더 나뉩니다. 그리고 환제냐.. 액제냐.. 복잡합니다. 그만큼 찾는 사람이 많고 어느정도 약효를 느낄 수 있기에 제약회사들도 다양하게 출시하는 거겠지요.
2.1.1. 천왕보심단 종류
2.1.1.1. 천왕보심단 환제


- 제품명 : 경진제약 경진천왕보심단, 한솔신약 금왕심단(천왕보심단), 동인당제약 동인보심단환(천왕보심단), 한풍제약 순심환(천왕보심단), 일심제약 애심환(천왕보심단), 경방신약 용천환(천왕보심단), 익수제약 용표안신환(천왕보심단), 정우신약 정우천왕보심단환, 신화제약 진정환(천왕보심단), 한국신약 천심(천왕보심단), 오스틴제약 천왕안심환(천왕보심단), 아이월드제약 태평환(천왕보심단)
- 금박에 씌워진 상태로 씹어먹는 환제가 있긴 한데.. 요새는 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는 약국에서 파는 다른 한약제들처럼 잘은 알맹이 한약들이 포장된 표로 많이 볼 수 있습니다. 금박이 비싸서 그런가.. 제 의견으로는 공진단이나 청심원 수준의 가격이 아닌 저렴한 천왕보심단의 경우 포장값에 공을 들이면 손해가 나서가 아닐까 싶네요. 보통 포는 천원 내외로 판매됩니다.
2.1.1.2. 천왕보심단 액제


- 제품명 : 조아제약 보심액(천왕보심단), 삼진제약 안정액(천왕보심단), 인트로바이오파마 안정엑스액(천왕보심단), 익수제약 용표안신액(천왕보심단), 일양약품 일양청심액(천왕보심단), 알피바이오 일이관지천왕보심단액, 경진제약 자암액(천왕보심단), 원광제약 정심액(천왕보심단), 정우신약 정우안심액(천왕보심단), 한국신약 천심액(천왕보심단), 오스틴제약 천왕안심액(천왕보심단), 경방신약 평심액(천왕보심단), 마더스제약 평안액(천왕보심단)
- 삼진제약의 안정액이 대단한 히트를 쳤습니다. 최근 건강기능식품으로 불면증에 여러가지 원료들이 허가를 받으면서 기습적으로 천왕보심단을 액으로 만들어 시장을 선점했지요. 이런 사례를 찾아보면.. 공진단도 액으로 만들어서 지금 시도를 하고는 있는 것으론 보이는데,, 가격이 좀 비싸죠.
여러번 복용하다보니 병으로는 단가가 안나와 포로도 나왔습니다. 조금더 저렴합니다. 보통 병은 3~4천원 정도 하고 포는 2천원 내외였던갓 같네요.
2.1.1.3. 천왕보심단 캡슐

- 제품명 : 경진제약 심진캡슐
- 이제는 캡슐로도! 나왔는데! 무슨 이슈에선지 최근 제품이 회수가 됐습니다. 허가는 2002년 예전에 받았으나 복용 편의성에도 불구하고 크게 유행하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생산회사도 경진제약 하나 뿐이네요. 20캡슐을 보통 한번에 2개씩 복용하는데 보통 5천원 정도 합니다. 한번에 500원 꼴이니 생각해보면 가장 저렴하네요. 하지만 보통 취급하는 약국은 적습니다.
2.1.2. 우황청심원 종류
말씀드린대로 개별적으로 구분됩니다. 환제 VS 액제 / 원방 VS 변방 / 사향 VS 영묘향 이렇게 세가지를 각각 비교해보시면 좋겠네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저라면 영묘향이 들어간 변방 우황청심원 액제를 복용하겠습니다.
2.1.2.1. 환제 VS 액제
생각해보면 간단합니다. 환제는 위장에서 좀 풀어져야 흡수가되고 액제는 이미 물에 다 녹은 상태니 곧바로 흡수가 됩니다. 따라서 효과는 액제가 빠르며 환제는 서서히 나타난다고 보시면 됩니다. 물론 금박을 씹을때의 그 맛이 있긴 하지요. 제조상 단가의 차이로 환제가 액제보다 4~5천원 이상 비싼 편입니다. 광동에서 환제와 액제 임상시험을 해서 동등성을 입증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자료를 다시 찾아보려니 나오지 않네요.
아 금박으로 감싸는 이유는 핵심성분이 사향인데 이게 공기중에 휘발이 잘된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포장기술이 부족해서 비닐로 밀봉이 안되니 금박으로 감싸는 방법밖에 없었다고 하네요. 최근 금박이 품절이 잦아 판매가가 많이 올라간 편입니다.
2.1.2.2. 원방 VS 변방
대충 풀어쓰면 원방은 원래 처방, 변방은 변한 처방 입니다. 성분은 조금씩 차이가 나는데 중요한건 사향 혹은 영묘향과 우황의 함량 차이 입니다. 두가지 성분이 사실은 핵심적이기 때문이지요. 아래 테이블을 보시면 제법 함량차이가 나는걸 보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임상적으로는 뇌졸중이나 안면마비 등 중질환에는 확실이 원방이 뛰어나나 단순 불안 초조에는 원방과 변방이 그렇게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료를 못찾겠네요..) 원방이 변방보다 (편차가 좀 큰긴한데) 5천원~3만원 까지 비싼 편입니다.
사향 (영묘향) | 우황 | |
원방 | 45 mg (114 mg) | 38 mg |
변방 | 14 mg (15 mg) | 5 mg |
2.1.2.3. 사향 VS 영묘향
사향노루가 보호종으로 지정되면서 더이상 원료를 구하기 힘들어졌습니다. 그래서 사향노루대신 특정 고양이(사향) 한테서 원료를 채취하게 됩니다. 임상시험을 통해 효과적인 측면에선 어느정도 동등성을 입증했다고 합니다. L-무스콘을 유효물질로 잡았습니다. 사실 생약이란게 유효물질 한가지에서 100% 약효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완전 동일하다고는 말할 수 없긴 합니다. 하지만 중한 질환일 경우는 사향을 쓰겠지만 간단한 불안에는 그 미묘한 차이가 나타날 것 같진 않네요. 가격적으로 보면 사향이 4~5천원 정도 더 비싼 편입니다.
2.1.3. 우황청심원 제품 리스트
대략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가격은 그냥 대략적인 금액입니다. 회사별로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그냥 아 이정도 가격차이가 나는구나 하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대체로 보면 영묘향의 제품이 많고 환제가 적은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원료가 귀하기 때문이겠죠? 회사로는 광동제약과 익수제약이 유명한 편이긴 합니다.

사향 | 영묘향 | |
원방 | 액제 : 광동제약 솔표원방우황청심원액, 광동제약 광동원방우황청심원현탁액, 익수제약 용표원방우황청심원현탁액 가격 : 약 3만8천원 내외 환제 : 광동제약 광동원방우황청심원, 익수제약 용표원방우황청심원, 한풍제약 한풍원방우황청심원 가격 : 약 4만원 내외 |
액제 : 보령 보령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L-무스콘함유), 삼성제약 삼성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L-무스콘함유), 익수제약 용표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함유), 일양약품 일양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함유), 일화 일화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엘-무스콘함유), 조아제약 조아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함유), 경진제약 진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함유), 한국코러스 효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함유), 광동제약 광동원방우황청심원현탁액(사향대체물질함유), 녹십자 녹십자원방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함유) 가격 : 약 만2천원 내외 환제 : 경진제약 경진원방우황청심원(사향대체물질엘-무스콘함유), 광동제약 광동원방우황청심원(사향대체물질영묘향함유), 익수제약 용표원방우황청심원(사향대체물질함유) 가격 : 약 만5천원 내외 |
변방 | 액제 : 마더스제약 마더스우황청심원액, 한국신약 한신우황청심원액, 경남제약 경남우황청심원현탁액, 광동제약 광동우황청심원현탁액, 녹십자 녹십자우황청심원현탁액, 마더스제약 마더스우황청심원현탁액, 익수제약 용표우황청심원현탁액, 원광제약 원광우황청심원현탁액, 일화 일화우황청심원현탁액, 경진제약 진우황청심원현탁액 가격 : 약 만원 내외 환제 : 광동제약 광동우황청심원, 한국신텍스제약 신텍스우황청심원(변방), 익수제약 용표우황청심원, 한국신약 한신우황청심원, 한풍제약 한풍우황청심 가격 : 약 만2천원 내외 |
액제 : 경남제약 경남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L-무스콘함유), 보령 보령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L-무스콘함유), 삼성제약 삼성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L-무스콘함유), 광동제약 솔표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l-무스콘함유), 익수제약 용표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엘-무스콘함유), 원광제약 원광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엘-무스콘함유), 일화 일화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엘-무스콘함유), 조아제약 조아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함유), 한국신약 한신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함유), 광동제약 광동우황청심원현탁액(사향대체물질영묘향함유), 녹십자 녹십자우황청심원액(사향대체물질엘-무스콘함유) 가격 : 약 5천원 내외 환제 : 경방신약 경방우황청심원(사향대체물질l-무스콘함유), 광동제약 광동우황청심원(사향대체물질영묘향함유), 광동제약 솔표우황청심원(사향대체물질L-무스콘함유), 한국신텍스제약 신텍스우황청심원(사향대체물질엘-무스콘함유), 익수제약 용표우황청심원(사향대체물질엘-무스콘함유) 가격 : 약 8천원 내외 |
'의약품 및 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약품] 마늘주사 임상적 효능 효과 근거 (푸르설티아민주사) (1) | 2024.03.28 |
---|---|
[식품] 글루타치온 - 건강기능식품 X (6) | 2024.01.30 |
[일반의약품] 스트렙실 vs 미놀 vs 기타 트로키제 (인후염) (0) | 2023.10.20 |
[의약품] 항공성 중이염 치료제 (귀막힘) (1) | 2023.09.26 |
[일반의약품] 판피린 VS 판콜 + 중독 (1) | 2023.09.06 |
댓글